수입국 : USA

화려하게 치장된 디바가 아닌 진정한 아티스트로서의 재탄생.
머라이어 캐리의 2002년 새 앨범 [Charmbracelet]
히트 싱글 “Through The Rain”포함.


♡ 제 블로그가 유용하시면 구독해주세요~^^
♠그냥 가시지 마시고 댓글을 써주시면 블로거는 큰힘이 된답니다~~*^^*♠

'뮤직 > 팝송(Pop so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rah jones-Come away with me  (0) 2009.06.17
N sync-No strings attached  (0) 2009.06.15
Michelle branch-Hotel paper  (0) 2009.06.13
Kelly clarkson-Thankful  (0) 2009.06.12
Justin timberlake-Justified  (0) 2009.05.31
Christina aguilera-Stripped  (0) 2009.05.30
Christina aguilera-my kind of Christmas  (0) 2009.05.24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팝계의 신데렐라에서 재벌의 사모님으로

마돈나, 휘트니 휴스턴, 재닛 잭슨, 폴라 압둘, 머라이어 캐리 등 현재 미국 팝계를 주름잡고 있는 '여가수 빅5' 가운데 1990년대에 등장한 인물은 머라이어 캐리 뿐이다. 다른 여가수들은 모두 1980년대에 이름을 떨치기 시작했지만 그녀만은 정확히 1990년에 데뷔했다. 이 때문에 그녀는 '이 시대의 여가수'라는 타이틀에 가장 잘 들어맞는다.

그녀는 지금까지 6년간 발표한 싱글을 모조리 차트 톱10에 올려놓았다. 차트 1위곡도 무려 8곡이나 된다. 현재의 시점에 그녀를 능가할 여가수는 없어 보인다. 팝 관계자들은 그녀를 '팝 신데렐라'로, '팝계의 히로인'으로 추켜세운다.

머라이어 캐리를 이처럼 '마르지 않는 히트 샘물'로 만든 원동력은 무엇보다 그녀의 탁월한 가창력이라는 데는 추호도 의심할 여지가 없다. 5옥타브 정도는 가볍게 넘나드는 넓은 음역으로, 한 자료에 따르면 '박쥐만이 들을 수 있는 음까지 구사한다'는 것이며 키만 높은 것이 아니라 그 소리는 강력하며 소울풀(soulful)한 냄새를 풍기고 있다. <버진 록 백과사전>은 그녀를 팝 가수 아닌 소울 가수로 분류하기도 한다.

그녀의 라이벌은 자신보다 7살이나 위인 선배 휘트니 휴스턴이다. 실제로 그녀는 '제2의 휘트니'라는 수식어를 안고 출현했으며 목소리의 색깔도 비슷하며 발라드를 부르는 점도 유사하다. 그녀는 당연히 이러한 비교를 사양한다. 곡을 못 쓰는 휘트니와 달리 스스로 곡을 쓰고 프로듀스까지는 한다는 점을 들어 “그녀는 가수고 나는 엄연히 아티스트”라는 것이다.

머라이어 캐리의 성공은 여러 면에서 휘트니의 스타일과 코스를 그대로 본떴다. 우선 휘트니가 아리스타(Arista)레코드사 클라이브 데이비스 사장에게 발탁되어 길러진 간판 가수인 것처럼 그녀 또한 소니 뮤직의 토미 모톨라(Tommy Mottola) 사장이 픽업했다. 그러니까 애초부터 그녀는 휘트니의 '경쟁 상품'으로 개발(?)된 셈이다. <롤링 스톤>지는 1993년 <뮤직 박스(Music Box)> 앨범을 평하면서 “이는 잠재적 홈런으로 쓰여지고 편곡된 곡들이다. 한 앨범에 '항상 당신을 사랑하리(I will always love you)'의 상업적 영감을 받은 노래가 너댓 곡씩이나 포함되어 있다고 상상해 보라”고 지적했다.

'휘트니의 제록스 복사판'으로서 그녀는 물론 회사측의 주력 상품이다. 소니 뮤직측은 데뷔 때부터 그녀를 대놓고 밀었다. 당시 얼마나 홍보력을 동원했으며 이 부분에서 둘째가라면 서러워 할 마돈나마저 부러워했을까. 소니 뮤직의 한 직원은 “우리는 머라이어가 더 특권을 가진 인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녀를 논할 때 떼어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이 '특권' 개념이다. 레코드 회사와 가수와의 관계에 있어 특권이라면 홍보를 가리킨다. 다시 말해 그녀가 어느 누구보다도 회사측의 전폭적인 홍보 지원을 받았다는 뜻이다. 이는 결국 머라이어의 성공이 그녀의 가창력과 미모 뿐 아니라 '당국의 협조'가 거들어 잉태시킨 결과임을 시사한다.

차트 성적만 봐도 그렇다. 빌보드 팝 싱글 차트는 판매(sales)와 방송(airplay)부문 현황을 합하여 순위를 매기고 있다. 그런데 그녀의 넘버원 8곡이 방송 차트에선 순위처럼 1위를 차지했지만 판매 차트에서 정상에 오른 싱글은 데뷔 앨범의 2곡 '사랑의 비전(Vision of love)'과 '사랑은 시간이 걸리지(Love takes time)'에 불과하다. '감정(Emotions)' 같은 노래는 판매 차트 10위에 불과했으며 5위까지 올랐던 92년 싱글 '메이크 잇 해픈(Make in happen)'의 경우 방송은 2위인데 반해 판매는 18위에 그쳤다. 판매보다 방송에 있어 강하다는 것은 그만큼 회사측의 힘이 많이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판매는 방송의 빈도에 영향을 받고 방송은 회사의 홍보에 의해 좌우되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물론 라디오 방송국이 홍보와 무관하게 단지 그녀의 노래가 좋아서 틀어 댈 수도 있겠지만 현실적으로는 홍보의 소산이라는 게 중론이다).

그렇다면 무엇 때문에 그녀는 레코드 회사측의 지원 세례를 받고 있는 것일까. 그녀가 다름 아닌 소니 뮤직 토미 모톨라 사장의 아내이기 때문이다. 머라이어 캐리는 1993년 6월 5일 준 브라이드(6월 신부)의 축복 속에 모톨라 사장과 결혼, 팝계의 신데렐라에서 다국적기업의 지체 높은 사모님으로 신분 상승했다.

무명 시절 웨이트리스, 헤어 살롱 직원, 코트 점검원 등의 직업을 전전하던 그녀는 브렌다 K스타라는 여가수의 백업 보컬을 하면서 팝계에 입문하게 되었다. 브렌다는 그녀의 재능을 감지해 데모 테이프를 들고 제리 그린버그라는 이름의 남자를 만나게 해주려고 그녀를 파티에 데려갔다.

그런데 테이프는 제리에게 전달되기 전 토미 모톨라의 손에 들어가게 되는데 파티가 끝난 후 그는 리무진을 타고 데모를 듣고 가다가 놀란 나머지 황급히 파티장으로 돌아왔다. 머라이어는 이미 떠난 뒤였다. 모톨라 사장은 그녀의 자동응답기에 “난 CBS레코드(소니 뮤직의 전 이름)의 토미 모톨라입니다. 전화해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메시지를 남겨 놓았다.

이것이 그녀가 <US>지에 스스로 밝힌 신데렐라 스토리다. 이렇게 그녀와 토미와의 관계가 시작되었다. 그녀는 이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처음 만났을 때부터 관계가 이뤄진 것은 아니었다. 분명히 매우 긴장된 '화학적 작용'이 있었다. 그러나 난 당황했고 수줍음이 많았다”고 밝혔다.

그런데 모톨라 사장은 20년 동안 고락을 함께 해 온 아내와 이혼하고 말았다. 이 때문에 '두 사람은 결혼 훨씬 이전부터 사장-가수 관계가 아닌 연인 관계였다'는 곱지 않은 소문이 파다했다. 처음 만났을 때 모톨라는 데모 테이프에만 반한 것이 아니라 사람에게도 흘려 그녀를 새 인생 파트너로 '찍었다'는 것이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머라이어는 모톨라 이혼의 간접적 원인 제공자라는 얘기가 된다. 그럴 경우 그녀는 모톨라가 조강지처와 헤어지기 전부터 로맨스를 엮었다는 점에서 도덕적 비난의 굴레를 벗어나기가 어렵다. 자신도 떳떳하지 못했음을 느낀 탓일까, 이 점에 대해선 입을 굳게 다물고 있다. 지금도 그녀는 언론과의 인터뷰를 피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결혼식을 올릴 당시 그녀의 나이 23세, 모톨라 45세라는 '세대적 결합'의 뒤에는 이 같은 회색 여운이 남아 있다. 그것은 결코 상쾌한 기분이 아니다.

두 사람의 결혼은 그녀가 레코드 재벌 홍보력의 도움으로 스타덤에 올랐고 앞으로도 그것으로 인해 좀처럼 슬럼프를 겪지 않을 것이라는 지배적 관측을 낳았다. <롤링 스톤>지가 그들의 결혼식을 두고 대뜸 “머라이어 캐리가 그녀의 소속 레코드사에서 지원을 받지 않는다고 말은 할 수가 없다”고 표현한 것도 무리한 악평이 아니다.

그녀는 물론 이같은 지적에 강하게 반발한다.

“사람들은 내가 지금의 남편과 결혼했다는 사실에 매우 분개하고 있는 것 같다. 내가 모두 가져가 버렸다는 것이다. 그래서 날더러 소니의 여왕이니 뭐니하고 놀려대는 것이다.”

그녀는 1995년 <볼티 모어 선>지와의 인터뷰에서 모톨라부인이라고 해서 특혜를 누리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레코드사에 갔을 때 실제로 남편과 나는 어떤 목적을 가지고 논의하지 않는다. 목적 없이 대화할 뿐이다”라는 것이다. 엄청난 앨범 판매고가 '강력한 부군'의 영향력 때문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도 터무니없다고 일축한다. 컴퓨터 시스템으로 판매 상황을 점검하는 '사운드 스캔'이 생겨나면서 차트 순위는 곧바로 음반 판매 현황을 반영하게 돼 있다는 것이다.

“음악 산업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은 더 이상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있는 그대로다. 수십만 명의 소비자더러 상점에 가서 뭘 사도록 만들 수는 없는 노릇이다.”

냉정히 말하면 그녀는 하나의 '음악 상품'이다. 문화가 상품으로 만들어지고 거래되는 추세에서 그에 대해 왈가왈부할 바 없지만 그녀야말로 탈산업사회, 정보사회에 이르러 더욱 강조되는 '도구적 가치'(instrumental value)의 상징임은 분명하다. 미국 문화의 특성이기도 한 도구적 가치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1차적 의의를 부여하는 것으로(그녀 앨범의 경이적인 레코딩 기술을 보라) 인간 상호간의 조화와 소통을 중시하는 '표현적 가치'(expressive value)와 대조된다. 목표와 수단간의 관계를 비용의 측면에서 면밀히 계산하며 적정선에서 기술적 도구를 사용한다. 이것이 또한 미국 전통 속에 자리잡고 있는 중산층의 문화, 프로테스탄티즘 문화이기도 하다.

이를테면 머라이어 캐리의 음악은 아티스트 고뇌의 산물이 아니라 문화 기업의 경쟁력 있는 상품에 불과하다. 그것은 빈틈이 없지만 어딘가 모르게 인간적 체취는 부족하다. 이것이 바로 미국 상업적 팝 음악의 실체인 것이다. 음악 상품으로 치밀하게 기획된 그녀의 음악이 휘트니의 성공 패턴을 답습하고 노랫말도 무난한 성공을 담보하는 '사랑'에 중점을 두는 것도 모두 여기에서 비롯된다. 머라이어의 히트곡은 남녀 간 사랑의 노래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다. 그녀가 데뷔했을 때는 마침 과격하고 반(反)사회적인 갱스타 랩이 기승을 부릴 시점이어서 그녀의 아취있는 시대착오적 사랑 타령은 커다란 대조를 보였다. 1991년 <뉴스 위크>는 “한쪽은 잔인하고 다른 한쪽은 비현실적으로 온화한, 이러한 양극화가 팝 광경을 규정하고 있다”며 두 경향 모두를 세상에 대한 비이성적 대응이라고 주장했다.

현실이 깃들지 않는 공허한 사랑의 찬가는 성공을 가져다주는 안전핀일지는 몰라도 머라이어 음악의 아킬레스건이다. 대부분의 비평가들은 <뮤직 박스>를 가리켜 '만약 이 앨범에 약점이 있다면 철저히 팝의 상투성으로 구성된 머라이어의 가사'라고 입을 모았다.

그녀는 실로 거대한 미국 제도권 상업 음악 매커니즘에 조종되고 움직여지는 가수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스스로의 사고와 주장을 드러내고 있다는 인상은 주지 않는다. 지난해 싱글 '영웅(Hero)'의 판매 수익금 전액을 그녀의 고향인 뉴욕의 롱아일랜드에서 터진 총기난동사건의 희생자들에게 기증한 것도 이 때문에 훈훈한 인간애의 발로라기 보다는 홍보와 이미지 메이킹의 전략으로 비추어짐은 어쩔 수 없다.

이러한 가수가 대중 음악의 꽃이요, 그것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인물이라는 점이 못내 아쉽다. 그녀의 <뮤직 박스> 앨범은 국내에서도 80만 장이나 팔려 나갔다. 팝송을 받아들이는 우리에게도 그녀의 인기가 최고라는데 비감이 든다. 그녀가 노래를 잘해서 일까, 그것이 행여 무비판적 팝 음악 수용의 단서는 아닐까.

  1995/08 임진모 (jjinmoo@izm.co.kr) / 록, 그 폭발하는 젊음의 미학



#앨범듣기#
2007/04/05 - [뮤직/팝송(Pop song)] - Charmbracelet-Mariah carey





♡ 제 블로그가 유용하시면 구독해주세요~^^
♠그냥 가시지 마시고 댓글을 써주시면 블로거는 큰힘이 된답니다~~*^^*♠

'뮤지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acido Domingo(플라시도 도밍고)  (2) 2008.07.02
김지연  (2) 2008.06.24
Yiruma(이루마)  (2) 2008.05.15
Madonna  (6) 2008.05.02
Leann rimes  (0) 2008.04.30
Kelly clarkson  (0) 2008.04.27
Justin timberlake  (2) 2008.04.25

+ Recent posts